본문 바로가기

Program Language/C#51

Part2. C# 기초 다지기(1. 배열)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열을 초기화하고 요소들을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배열의 생성과 초기화 배열은 같은 자료형을 갖는 연속된 집합입니다. 배열은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N]; // N은 배열의 크기 배열은 생성과 동시에 초기화할 수 있습니다. 초기화하는 방법은 중괄호 {} 안에 초기화하고자 하는 값들을 나열합니다. 이때 초기화하는 값들의 개수가 배열의 개수이므로 배열의 크기를 명시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은 배열을 초기화하는 방법들입니다. 자료형[] 배열명 = {자료1, 자료2, ...}; //new 키워드와 자료형[]없이 생성 및 초기화 자료형[] 배열명 = new 자료형[] {자료1, 자료2, ...}; //배열의 크기 지정없이 생성 및 .. 2023. 2. 3.
Part1. C# 첫발 내딛기(32. 조건문) 이번 포스팅에서는 C#에서 사용하는 조건문에 대해서 정리하겠습니다. if ~ else 문 if ~ else 문은 조건식에 따라 프로그램의 흐름을 결정하는 조건문입니다. 아래 예제처럼 if문 안의 식이 true인지 false인지에 따라 분기가 결정됩니다. if(식) 실행문1 //식이 true일때 실행 else 실행문2 //식이 false일때 실행 조건이 2개 이상이면 다음과 같이 else if문을 원하는 만큼 추가할 수 있습니다. if(식1) 실행문1 else if(식2) 실행문2 else if(식3) 실행문3 ... else 실행문N 다음은 조건문을 사용하여 입력한 년도가 윤년인지, 평년인지를 두 가지 방법으로 판단하는 예제입니다. 하나는 직접 조건식을 입력하고, 다른 하나는 DateTime클래스의 Is.. 2023. 2. 3.
Part1. C# 첫발 내딛기(31. object 타입) C#에서의 모든 형식은 Object로부터 상속됩니다. 값 형식이나 참조 형식, 사용자 정의 형식 모두 Object로부터 상속됩니다. 따라서 Object는 모든 형식으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bject의 이런 특성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object 타입의 박싱(Boxing)과 언박싱(Unboxing) Object 또는 object는 어떠한 값이라도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 값 형식의 변수가 object 타입으로 변환되는 것을 박싱(Boxing)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object타입이 값 형식으로 변환되는 것을 언박싱(Unboxing)이라고 합니다. 언박싱의 경우 (int)object와 같은 명시적인 캐스팅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박싱과 언박싱의 예를 보여줍니다... 2023. 1. 30.
Part1. C# 첫발 내딛기(30. Nullable Type) C#에서는 기본적으로 값 형식의 변수에는 null 값을 할당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변수타입을 nullable으로 변경하면 가능합니다. C# 2.0부터 도입된 기능으로 Nullable 또는 '?'연산자를 사용하여 변수에 null값을 할당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와 같은 Nullable 타입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Nullable와 '?'연산자 nullable은 다음과 같이 값형의 변수에 null값을 할당할 수 있게 해 줍니다. Nullable로 정의되며 여기서 T는 데이터형입니다. Nullable a = null; Nullable는 '?'연산자로 대체되어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ullable, Nullable대신에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니다. int? a = null; flo.. 2023. 1. 29.
Part1. C# 첫발 내딛기(29. default를 이용한 변수 초기화) C# 7.1부터 변수를 초기화할 때 default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default를 사용하면 해당 자료형에 맞게 기본값이 할당됩니다. 따라서 변수 초기화 시 default를 사용하면 매우 편리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편리한 default를 이용하여 변수를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형식에 따른 기본값 C#은 자료형마다 각각의 기본값이 있습니다. 아래표에 자료형 별 기본값을 정리해 놨습니다. 형식 기본값 참조 형식 null 숫자 값 형식 0 bool false char '\0' enum 식(E)0 값이며 여기서 E는 열거형 식별자입니다. struct 모든 값 형식 필드를 기본값으로 설정하고 모든 참조 형식 필드를 null로 설정하여 생성한 값 nullable 형식 HasValue .. 2023. 1. 26.
Part1. C# 첫발 내딛기(28. Null 조건 연산자 '?') C#에서 참조형 변수를 다룰 때에는 null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객체 속성에 접근할 때마다 체크를 해줘야 합니다. 하지만 C#에서는 좀 더 편리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그것은 바로 Null 조건 연산자인 '?'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Null 조건 연산자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null 검사 null이란 어떤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 참조형 변수입니다. 참조형 변수에 어떠한 객체도 할당되지 않았을 때 디폴트로 할당되어 있는 값이 null입니다. 다만 null은 값형에는 할당될 수 없습니다. null인 참조형 변수에 접근하려고 할 경우 예외가 발생하기 때문에 객체의 생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널 검사를 많이 사용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null 검사 방법입니다... 2023. 1. 24.